반응형 주식 스터디29 서킷브레이커란 무엇인가? 뜻과 발동조건, 주린이 주식용어 정리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 무엇보다도 브레이크가 매우 중요하죠?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에서도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라고 불리는 '제동 시스템'이 있어요. 서킷브레이커란? 원래 전류가 과하게 흐를 때 그 회로를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서킷브레이커라고 부르는데요. 주식시장이 과열되었을 때 마치 전기를 차단하여 열을 식히기 위해 일정한 시간 동안 강제적으로 거래 중단을 하는 것을 말해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한다는 것은 현재 주식시장이 불안정한 상태라고 이해해도 좋아요. 서킷 브레이커는 1987년 10월 미국에서 사상 최악으로 주가가 대폭락 했었던 블랙먼데이(Black Monday) 이후 주식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한국은 1998년 외환위기로 인해 주식시장이 붕괴되자 이를 도입해.. 2024. 4. 4. 주식차트보는법 주식초보 차트 분석 방법, 캔들차트 막대를 알아보자 요즘 많은 분들이 주식을 하고 계신데요. 놀라운 사실은 캔들 차트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거래를 하는 분들이 많다는 거였어요. 그래서 캔들 차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먼저 아래 사진을 보면 어떤가요? 양초처럼 생겼죠? 그래서 캔들(Candle)로 불려요. 캔들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움직임을 요약해서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라고 생각하면 돼요. 기본적으로 분봉(1분), 일봉(하루), 주봉(일주일), 월봉(한달)으로 나눠지며, 캔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해당 주식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며, 기초이지요. 캔들이란?캔들을 통해 우리는 시가(장중 처음으로 거래된 가격), 고가(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 저가(가장 낮게 거래된 가격), 종가(마지막으로 거래된 가격)를 알 수.. 2024. 3. 26. PER과 PBR의 뜻은 무엇일까? 저pbr 주식과 계산 방법? 투자의 세계에서는 회사의 재정적 건강상태와 잠재력을 나타내는 기본 지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러한 지표 중에서 재무 비율은 투자자자가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내리도록 안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본 글에서는 두 가지 주요 재무 비율은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 쉽게 설명을 함으로써 초보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해요.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수익비율(PER)은 회사의 주당 시장 가격을 주당순이익(EPS)과 비교하는 기준이에요. PER은 주가를 기업의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PER은 투자자가 주식이 수익에 비해 과대평가되었는지, 과소평가되었는지, 공평하게 평가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예.. 2024. 3. 19.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가 무슨 뜻인가요? 주식초보 투자공부 어닝 쇼크(Earning shock)와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는 모두 회사의 재무 성과와 관련이 있지만, 각각 다른 시나리오와 결과를 나타내요. 이 두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이 주기적으로 발표하는 재무 보고서의 중요성을 알아야 해요. 재무보고서는 회사가 특정 기간 동안 얼마나 잘 운영되었는지, 즉 수익과 지출, 이익 등을 포함한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지요. 어닝 쇼크란? 어닝 쇼크는 예상된 재무 결과가 회사가 보고한 실제 결과 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했을 때를 말해요. 말 그대로 '쇼크'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의미를 생각해 보면 될 것 같아요. 예상했던 성적은 A 학점인데 실제로 성적표를 받아보니 D학점을 받은 것과 같은 상황이지요. 일반적으로 예상보다 결과가 .. 2024. 3. 15.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반응형